자세히보기
728x90

전체 글 131

사파이어와 함께하는 냉장고 자석 만들기 ㅋㅋ

사실 출장이 겁나게 많은 직업인지라;;; (해외영업이라 1년에 여권 1권정도 씁니다;;;;) 출장 갈때마다 그지역 자석을 하나씩 사옵니다.ㅋㅋ ​ 요새 근데 코로나 땜에 어디 가지도 못하고;;; 외국 가보고 싶어서 하나 만들어 볼수 없을까 하다가 아이디어!가 생각낫져 ㅋㅋㅋ 사실 별거는 아니고 전에 한참 만들어보던 리쏘페인을 이용했는데요 ㅎㅎㅎ 사진을 > 굴곡잇는 모델링으로 만들어 줍니다 ㅋㅋㅋ 순서대로 해볼게요~ 1. 리쏘페인으로 사진을 3D로 만들기 ㅋ 사이트에 들어가시면 간단히 만들수 있습니다. Image to Lithophane Flat Inner Curve Outer Curve Solid Cylinder Rectangular Pillow Dome - on Top Dome - on Side Hea..

3D프린터로 오스카상 만들기

이번에 지인들 모임에.. 하나씩 선물할 요량으로 트로피를 만들어 봣습니다. ​ 누구나 상받으면 기분 좋잖아여ㅋㅋ ​ ​ 일단 오스카 상에 글씨를 박아 줍니다. ​ 모델링툴로 하면 쉽겟지만.. 더쉬운 스케치 업으로 일단 글씨 파일을 만들어 주고 ​ 만든 글씨 파일을 메쉬믹서로 오스카상 모델링 파일과 합쳤습니다. (이부분 사진이 날라갓네요 ㅠㅠ) ​ ​ 여튼 만든 모델링으로 신나게 출력 합니다. 사파이어는 거침이 없는 프린터죠 ㅋㅋㅋㅋ ​ 완하오 ABS내추럴 ​ 240도 / 105도 에폭시베드 쿨링100% ​ ​ ​ 온돈이도 이쁘게 잘나왓네요 ㅋ ​ ​ ​ 이제 아세톤 훈증이라는 걸 합니다. ​ 아세톤을 기화 시켜서 표면을 살짝 녹이는건데.. 3D프린터 특성상 생길수 밖에 없는 적층 결 무늬를 없애 줍니다 ..

사파이어 플러스 직결식 개조

저는 사실 보우덴을 좋아해요 ㅋㅋ 그냥 정비하기 쉬운거같아서 ㅋㅋㅋ ​ 근데 이번에 직결킷을 랩팩 사장님께 선물받아서...모터는 제가 구매햇구요 ㅋㅋ 직결 개조가 호평일색이길래 한번 장착 해봅니다 ㅋ ​ 직결식은 간다히 이야기하면 헤드 노즐부와 익스트루더를 하나로 합쳐서 ..필라멘트가 더 강하게 들어가도록 만드는것입니다 ㅎㄹ ​ 작업은 어렵지 않았어요...하는김에 ​ gt벨트도 교체하고.. 노즐교체 히터교체 서미스터 교체 히팅블럭교체 ​ ​ ㅎㅎㅎㅎ 그냥 미뤄놧던거 다햇습니다 ㅋ ​ ​ ​ ​ ​ 기존...히팅블럭과 노즐인데...와 심하네요...세는것도 그렇고...제대로 체결도 안되잇고... ​ 이전사용자 분이 쓰던거 가져와서 그냥무시하고썻는데..넘햇네요..제가 괜히 미안한... ​ 여튼 말끔하게 교체 ..

프론터페이스 (2) - PID 튜닝

계절의 변화, 날씨가 많이 더워지거나 추워지면 온도 조절이 잘 안될때가 있습니다. 이럴때는 ABS출력을 위해 235도로 온도를 입력해도, 230~240도에서 왓다갓다 하며 온도가 파도타기를 하고 ㅋ 그러면 아래와 같은 출력물을 보실수 잇지요;;;ㅎㅎㅎ ​​사실 저 사진 처럼 Z축 방향으로 그러니까 세로 방향으로 와블이 발생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이것 저것해봣는데도 안될때는 PID튜닝도 한번 의심해볼만 합니다. ​또 센서나 히터를 교체했을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때 P, I, D 세개의 온도 상수 값을 조정하여 온도를 잘 유지 시킬수 있도록 할 수가 있습니다. ​1) 먼저 프론터페이스에 연결하여 현재 상태를 봅니다.​명령어 : M503​그러면 중간 즘에..echo: M301 P14.05 I0...

3D프린터 관련 2020.06.24

프론터 페이스 사용법 (1) - 설치

3D프린터를 처음에 그냥 사용하실때는 거의 모르겠지만, 나중에 펌웨어를 수정했다던가,..프린터 자체를 자작 하신다던가하면, 프린터의 지금 컨디션에 대해 정확히 알 필요가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우리의 LCD화면에는 온도, 팬속도, 유량, 등 간단하고 꼭필요한 정보만 나오지만, 우리가 필요한것은 1) 엔드스탑 스위치가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2)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는지, 3) 세부적인 설정값은 어떻게 펌웨어가 들어가 있는지 ​ 등등 여러 정보를 알아야할 때가 있지요 ​ 만약 엔드스탑이 제대로 작동이 안되고 있는데 오토홈을 한다던가 하면 당연히 드드드드드득하면서 헤드가 프레임에 부딪히게 됩니다 ㅋㅋ ​ 하지만 우리는 LCD화면 어디에서도 엔드스탑에 대해 알수 가 없져 ㅋㅋ ​ ​ 그래서 우리는..

3D프린터 관련 2020.06.24

옥토프린트, 옥토프린터 octoprint (3) - PSU 컨트롤, 프린터 연결

옥토프린트에 프린터를 연결하고 파일을 올려서 출력하는데 까지 성공 하셨다면 당신은 천재 ㅎㅎ ​ 이제 옥토프린터의 Add on 기능중 꽃인 PSU(Power Supply Unit)컨트롤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아마 제일 많이 쓰는 기능이 아닐까...ㅎㅎ ​ PSU컨트롤은 말그대로 파워를 컨트롤 하는 것인데..쉽게 말해 프린터를 원격으로 켰다 껐다 할수 있는 기능입니다. ​ 정말 꽃같은 기능이죠... 웹모니터링으로 보고 있다가 .. 혹시나 그럴일은 없겠지만 불이 나거나 한다면 전원을 내릴수 있는 기능 ㅋㅋ 원격으로 출력 돌려놓고 출근햇는데 중간에 핸드폰으로 확인해보니 탈조가 나고 있다던가 하면 바로 꺼버릴수 있는 기능이죠 ㅋㅋ 물론 출력을 마친 이후에 전기세를 아끼기 위해 전원을 내릴 수도 있구요 ​ 우..

옥토프린트 2020.06.24

옥토프린터, 옥토프린트 octoprint (2) - 외부접속 설정 DDNS , IPTIME

1. DDNS : Dynamic DNS (동적 DNS) , >>> 쉽게 이야기해서 외부에서 집에 있는 와이파이망에 접속 할수 있도록 도메인 같은 주소를 만들어 주는 것. 2. 포트포워딩 : 해당 네트워크에 특정포트에 접근하는 패킷(통신)을 특정컴퓨터로 연결시켜주는 기능 >>> 집에 들어온 접속자를 알아서 해당 포트로 넘겨주는 우리집 집사 같은 기능.. ​ 3. IPTIME : 아이피타임, 한국에서 제일 많이 쓰는 공유기 브랜드, DDNS서비스를 공짜로 해줍니다. 외부 DDNS를 지원하는 공유기는 이외에는 거의 없으니 그냥 IPTIME씁시다.. 가격도 싸고 ​ 공유기 접속 아이피 확인하는 방법먼저 설명합니다 ​ 바탕화면 하단에 돋보기에 CMD 라는 명령어를 칩니다. ​ ​ 창이 나오면 IPCONFIG 를 ..

옥토프린트 2020.06.24

옥토프린터, 옥토프린트 octoprint (1) - 설치

3D프린터를 처음 구매해서 한 한달간은 매일매일 재밌습니다. ㅋㅋㅋ ​ 회사에 있어도 프린터 생각이 나져 ㅋㅋ 오늘은 집에가서 이걸 해봐야겠다 저걸 해봐야 겠다. ㅋㅋ ​ 또 시간이 오래걸리는 출력물들은 저같은 경우 40시간 넘는것도 해보긴 했는데.... ​ 회사에서도 출력 상황을 보고 싶기도 하고요 ㅋㅋ 보고만 있어도 재밌습니다. 캠핑가서 불멍 하는 느낌이랄까... ​ ​ 여튼 옥토프린트는 그런 우리의 Needs를 충족시켜주는 기능 입니다. ​ 프린터를 웹을 통해 온도 조절이나 일시정지, 출력 정지, 프린터 전원 컨트롤 까지 가능 하죠 .. ​ 물론 라즈베리 기반이라 카메라로 출력 상황 까지 볼 수 있습니다. ​ ​ ​ 쉽게 이야기 해서 라즈베리라는 미니 컴퓨터를 프린터에 연결 시켜 놓고, 웹을 통해 ..

옥토프린트 2020.06.24

3D프린터 marlin 펌웨어에 대하여 (3) - BLtouch적용

지난 펌웨어 읽어드렸던 설명에 이어서 가장 많이 작업하시는 'BL터치' 적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BL터치는 3D프린팅 입문에 가장큰 장애물인 레벨링을 자동으로 해주는 센서인데요.. 쉽게 말해서 엔드스톱 스위치 같은 스위치가 바닥을 찍어 체크하는 것을 바탕으로 바닥높이를 체크해서 보정하는 방식 입니다. ​ 가장 장점이라고 하면.. 금속센서와는 다르게 베드가 금속재질이 아니더라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것이죠..그리고 상용되고 있는 금속센서들에 비해 정확도가 우수하다고 합니다...(소수점 세자리 이상까지 집어낸다는데 저는 사실 잘 못믿겟는;;;ㅎㅎㅎ) ​ ​ 여튼 지난 펌웨어 수정에서 이어서 설명드리면, ​ 우선, BL터치를 Z축 리미트 센서 대신 사용하는 것을 전제하에 설명하겠습니다. ​ 1) BL터치 ..

3D프린터 marlin 펌웨어에 대하여 (2)

이제 VSC를 열어서 펌웨어를 불러오는 것 까지는 성공했고.. 그럼 이런 화면들이 주욱~ 나옵니다. 초록색 글씨들은 대부분 비활성화(주석처리)되잇는 것들이며 말그대로 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부연 설명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먼저 우리가 어떤 보드를 쓰고 있는지 설정해줘야 하는데...좌측에 platform IO를 눌러 보시면, 각종 보드에 대한 설명들이 주욱 있습니다. ​ 그중간에 ​ *[platformio] src_dir = Marlin boards_dir = buildroot/share/PlatformIO/boards default_envs = STM32F103RC_btt_512K_USB 이부분에 defalt_envs에 우리의 보드에 박혀있는 칩셋이름을 적어야 하는데 skr mini e3보..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