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세히보기
728x90

전체 글 131

사파이어 프로 플러스 v3 오토레벨링 설치 with BL터치 ( Sapphire plus pro v3 autoleveling BL touch install)

사파이어 시리즈는 기본적으로 MKS펌을 사용합니다. ​ ​ 사파이어 펌웨어를 받아서 압축을 풀어보시면 4가지가 들어잇는데 이 네가지를 sd카드에 모두 넣고 프린터에 넣어야합니다. 1) 맨 위에 폴더 두개는 우리가 터치TFT화면에서 볼수있는 폰트나 아이콘 디자인등이니 그냥 같이 넣어주시면 되고 ​ 2) 세번째 Robin_nano35.bin은 마를린 펌을 써보신 분이라면 아시겟지만 펌웨어 파일입니다. 보통 마를린은 빌드를 새로해서 이 bin자체를 새로 만들죠;;; ​ 3) 네번째 있는 메모장 파일이 바로 CFG파일이라는 건데, MKS펌에 가장 좋은 점이 바로 이것입니다. 펌웨어 빌드 자체를 새로하지 않고도, 즉 bin파일을 건들지 않고도 이메모장에서 수치변경등 설정을 바꿀수가 있게 해놨지염 ​ 그래서 뭔가 ..

사파이어 프로 플러스 BL터치 장착법 (1) 배선

사파이어 프로 플러스 BL터치 장착법 (1) 배선 사파이어 프로 와 플러스 에 BL터치를 장착하는것에 대해 많은 분들이 질문하셔서 한번 올려드립니다. ​ 우선 배선 방법입니다. ​ 구형 버전을 쓰는 저와 다르게 대부분의 유저 분들은 1.2보드를 사용하고 계실거라고 보고 1.2보드 기준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 BL터치 설명서에 보면 이렇게 어떤 선이 어떤 역할인지 잘써있습니다. ​ 보시면 3선 : 갈색(GND), 빨강(5V), 노란색(Signal) 인데 > 아래 사진 처럼 보드에도 표기되잇으니 맞게 꼽으시면됩니다. 2선 : 검정(GND), 흰색(Zmin) 그러면 설명서에 따라 보드에 그대로 연결해주면 됩니다. 보드에는 요렇게.. ​ 이렇게 연결하시면 끝이고.. 적당한 마운트 받아서 이렇게 장착 해주시면 ..

사파이어 프로 > 모스키토 핫엔드 출력 mosquito hotend

​ 전부터 가지고 있던 모스키토 핫엔드를 사프에 달아보려고 시작해봤슴돠..ㅋ ​ ​ 일단 엄청 강력해보이는 주황색 출력 완료 ㅋㅋ ​ ​ 라프트 인데도 바닥면 깨끗 ㅋㅋ ​ ​ 덕트에 서포트도 깔끔하게 떨어짐 ㅋㅋ ​ ​ mosquito 모스키토도 깔끔 하게 들어갑니다. ​ ​ ​ 근데 이 고정볼트가 ㅠㅠ...m2.5네욤 ㅜㅜ ​ m2아니면 m3일줄알고 대충햇는데 ㅠ ​ 여튼 볼트 올때까지 다시중지 ㅋㅋ

사파이어 플러스 v3 공기정화기 장착 sapphire plus air purifier

사파이어 플러스 공기정화기 장착 해보겟슴돠 ​ 사파이어 프로에도 달아논건데... ABS 출력 할때 넘 좋아요 냄새도 먹어주고 ​ ​ ​ 마운트하고 블로워팬 먼저달고 ​ 보드에 24V에서 선빼서 멀티탭 역할하는 커넥터 달고 ​ 필터도 달고 마무리 합니다 ​ ​ 사람이 먹는 공기로 만들어주는 방독면 필터라 더 믿을수잇는 ㅎㅎ ​ 사파이어 플러스 는 챔버와 함께 구매할수잇어서 더 좋네염 ㅋ

사파이어플러스v3 챔버 장착해봣습니다. ( sapphire plus v3 enclosure )

사파이어플러스v3 챔버 ( sapphire plus v3 enclosure ) 가 도착햇어염 ㅋㅋ ​ 장착해보렵니다. ​ ​ 예전에 사프에다가 장착해봐서 이젠 쉬워요 ㅋ ​ 전체적으로 아크릴 케이스라고 보시면 됩니다 ㅎㅎ ​ 사프랑은 다르게 측면악세사리 장착부분에 홈들이 나잇네염...이거 가공하시기 힘들것다 ㅋㅋ ​ bmg랑 센서랑 떼엇다가 아크릴붙이고 그위에 다시 장착합니다. 전체다 티너트로 장착하게끔 되잇네욤 ㅋㅋ ​ ​ 그다음은 문짝 ㅋ 사파이어 플러스 v3 은 앞 프로파일이 민짜라...ㅠ 검은 철제 기둥을 하나 먼저 티너트로 박고 그다음에 십자 스크류로 경첩박고 그담에 문짝달고 순서대로 ㅋㅋ ​ ​ ​ 뚜껑도 후다닥 티너트로 조립하고 고무발도 박아주고 ㅋ ​ ​ 완성 ㅋ 공기정화기도 달아야되는데 ..

3dm ABS 테스트..또 상해씨

사실 이걸 테스트하려고 계속 뽑는건데.. ​ 3dm ABS 색감이 무색으로 매트한게 참좋은데..안착이 좀 어려워서 라프트 테스트 해봄.. ​ 완하오abs 노즐 250도 베드 100도 라프트 설정 라프트 에어갭 0.13 리트렉션 3/40 쿨링100% 적층 0.2 속도 100 가속 800 저크 15 ​ ​ 수축도 없고..무색으로 매트하게 잘나온듯 ​ 에어갭 0.13정도 주니 라프트 땐 면도 깔끔하고 적당하게 잘나온듯

초보자를 위한 Ultimaker Cura 큐라 읽어보기 (4) - 프린팅 속도 가속도 저크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올리게 됬습니다. 개인적으로 뭔가 연말이 되니 일이 많아 바빠졌네요; ​ 여튼 앞선 글을 보시고 온도 타워를 통해 적정온도를 찾았다고 하시면 아마 무리 없이 출력이 되실 겁니다;; 사실 온도맞고, 레벨링 잘되면 프린팅이 안나오는게 더 어렵거든요. ​ 그다음은 속도와 가속도 그리고 저크 입니다. ​ ​ 속도는 일반적으로 생각하시는 프린팅 속도, 그러니까 헤드가 움직이는 속도라고 보시면 되고, ​ 가속도는 속도가 변하는 시점. 예를들어, 품질을 좋게 하기위해 외곽을 천천히 돌리다가 내부채움을 빠르게 할경우 갑자기 빨라지는 시점. 이때 속도가 붙는 지점에서 많이 영향을 줍니다. ​ 저크는 우리말로 하면 가가속도 쯤 될텐데, 흔히 모서리에서 프린터 헤드가 무겁거나 하면, 특히 직결식 개조를 ..

큐라읽기 2020.11.25

초보자를 위한 Ultimaker Cura 큐라 읽어보기 (3) - 온도타워

프린팅 온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사실 이부분 같은 경우 워낙많은 변수와 조건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절대적으로 맞는다던가 하는것은 없으니 좀 러프하게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 ​ 온도는 노즐온도와 베드온도 두가지가 있습니다 . ​ 보통 노즐온도는 ​ PLA의 경우 180~210도 (보통은 190~200) ABS의 경우 230~250도 사이를 씁니다만, ​ 사실 필라멘트 제조사 별로 섞는 원료의 양도 다르고, 또 같은 필라멘트 브랜드라고해도, 'master batch' 라고 해서 필라멘트에 색상을 내는 원료 자체도 다르기 때문에 색상별로도 적정 프린팅 온도에 차이가 있습니다. ​ 그래서 가장 정확한 방법은 뽑아보는 것인데요. 새 필라멘트를 시험 할 때는 온도 타워를 인쇄하는..

큐라읽기 2020.11.2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