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파이어 시리즈는 기본적으로 MKS펌을 사용합니다.
사파이어 펌웨어를 받아서 압축을 풀어보시면 4가지가 들어잇는데 이 네가지를 sd카드에 모두 넣고 프린터에 넣어야합니다.
1) 맨 위에 폴더 두개는 우리가 터치TFT화면에서 볼수있는 폰트나 아이콘 디자인등이니 그냥 같이 넣어주시면 되고
2) 세번째 Robin_nano35.bin은 마를린 펌을 써보신 분이라면 아시겟지만 펌웨어 파일입니다. 보통 마를린은 빌드를 새로해서 이 bin자체를 새로 만들죠;;;
3) 네번째 있는 메모장 파일이 바로 CFG파일이라는 건데, MKS펌에 가장 좋은 점이 바로 이것입니다.
펌웨어 빌드 자체를 새로하지 않고도, 즉 bin파일을 건들지 않고도 이메모장에서 수치변경등 설정을 바꿀수가 있게 해놨지염
그래서 뭔가 수정할 일이 생기면, CFG파일만 열어서 수정하시고 저위에 bin 파일과 함게 프린터에 넣어주시면 펌업됩니다 ㅎㅎㅎ 빌드 할 필요가 없는거죠,
그래서 저는 오히려 초보 분들은 마를린 시도하시려다가 빌드 오류해결하는데 시간 쏟지마시고...
그냥 MKS펌쓰시라고 권유드립니다.
그럼 CFG파일을 열어서 수정할 부분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아마 마를린하고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마를린 해보신 분들은 그냥 하실수있을거에요.
#================== Flat button configuration =============================
>cfg_leveling_mode 0 #Leveling mode configuration: 1: automatic leveling; 0: manual leveling
1) 버튼 메뉴 부분 > 1로 바꾸어 줍니다.
#===================== Hot bed leveling Settings ==============================
>BED_LEVELING_METHOD 0 # 0:No leveling; 3: automatic leveling of multiple points; 5: hand mesh is flat
3으로 바꿔 오토레벨링으로 선택해줍니다.
>GRID_MAX_POINTS_X 3 # The X-axis way to adjust the number of points. <= 15
>GRID_MAX_POINTS_Y 3 # Adjust the number of points in the y direction. <= 15
여기는 레벨링 몇포인트찍을건지 정하는 건데 원하시는 만큼 하시면 됩니다. 대신 아래 나오는 베드 안에 간격도 맞아야 해서.. 너무 큰 수로 하면 잘 작동 안하는 경우도 잇습니다.
>Z_CLEARANCE_DEPLOY_PROBE 20 # Z Axis lift/drop distance.> 0
>Z_CLEARANCE_BETWEEN_PROBES 20 # Z The moving height of the axis at two leveling points. > 0
# Set the probe to reach the boundary distance of the hot bed.
>LEFT_PROBE_BED_POSITION 30
>RIGHT_PROBE_BED_POSITION 180
>FRONT_PROBE_BED_POSITION 30
>BACK_PROBE_BED_POSITION 180
>MESH_INSET 20 # MESH_BED_LEVELING Range of boundary distance in flat mode
#====================== Z Shaft probe setting =============================
>BLTOUCH 0 # 0:Disable BLTOUCH; 1: enable BLTOUCH
1로 바꾸어 BL터치로 설정합니다.
>Z_SAFE_HOMING 0 # 0:Do not enable, 1: enable, avoid returning to zero when the probe is in the hot bed
1로 바꾸어 사용하는 것으로 설정합니다.
#===================== Z Shaft probe setting =============================
#Probe interface z-min or z-max.
>Z_MIN_PROBE_PIN_MODE 2 # 0:Do not use; 1: connect the Z MIN; 2: after ZMAX
보통 Zmin 포트를 사용하기에.. 1로 설정합니다.
>Z_PROBE_OFFSET_FROM_EXTRUDER 0 # Z Offset: -below +above [the nozzle]
>X_PROBE_OFFSET_FROM_EXTRUDER 0 # X Offset: -left +right [of the nozzle]
>Y_PROBE_OFFSET_FROM_EXTRUDER 0 # Y Offset: -front +behind [the nozzle]
이건 노즐을 기준으로 BL터치를 어디에 장착했는지 나타내는 것인데..저 위에 마운트를 사용할경우
저는 일단 Y만 -44정도 주고 시작합니다.
Z옵셋은 0 으로 일단 해놓으시고 실제 프린트해보면서 Baby step으로 잡아줍니다.
여기 까지 설정 하신후 저장 하시고
다시 펌웨어 파일들 모두 SD카드에 넣고 프린터 켜주시면 펌웨어 업데이트가 진행 됩니다.
그다음 오토레벨링을 시작하면 포인트를 찍기 시작하는데 두번 실시해줍니다.
모두 찍고 나면 이제 노즐과 베드 간격을 일정하게 맞춰 움직이게 됩니다.
다만, 그 간격을 1mm로 할지 2mm로 할지는 사람이 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베드 레벨링 테스트 파일을 돌려보시면서 Baby step을 이용하여 간격을 원하는 만큼 맞춰 주시면 됩니다.
Customizable Bed Leveling Test by kenwebart
Customizable Bed Leveling Test Customize your own bed leveling test Why The first printed layer is crucial. For this we need a properly calibrated bed. I have been unhappy with all the test prints so far. It was often not possible to use a skirt. So I've decided to create a customizable test file. H...
www.thingiverse.com
저런 빙빙 도는 모델링 같은거 출력눌러 놓으시고, 처음에 노즐과 베드 간격이 좀 넓을건데...
출력 하면서 아래 처럼 옵션>베이비스텝으로 들어가서
z축 (+) (-)를 눌러 노즐의 높이를 원하는 간격으로 맞춥니다. 그러면 그다음 부터는 그 간격으로 그대로 출력 됩니다.
이정도 출력되면 잘된거같아요 ㅎㅎ
여튼 Z 옵셋맞추다가 베드만 안찍어 먹으면 성공입니다 ㅋㅋㅋㅋㅋ
혹시모르니 PEI같은 고가의 베드는 빼놓고 하세요
'근접센서 & BL터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파이어 프로 플러스 BL터치 장착법 (1) 배선 (0) | 2020.12.23 |
---|---|
PEI시트 구매 및 근접센서 장착 (0) | 2020.05.06 |
Ender 3 에 BLtouch 설치 및 적용(오토레벨링) (5) | 2020.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