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세히보기
728x90

전체 글 131

듀엣 보드 ( duet2 wifi ) project - 5 - NPN근접센서 오토레벨링 센서 장착 ( NPN inductive autoleveling)

우선 NPN센서를 장착하기 위해 듀엣 홈에 찾아 봤지만 그다지 BL터치만큼 친절히 나와있지 않습니다 . 배선은 아래와 같이 하고, ​ M558 P5 I1 ​ 명령어를 쓰라고만 나와 있습니다;;; ​ 아무리 해도안되서, ​ 핀번호를 지정해줘야 하나보다 .. 라는 생각으로 변경해봅니다 . ​ DWC에서 좌측 시스템을 눌러보면 전에 업로드해서 설치된 펌웨어 파일들이 보입니다,. ​ ​ 그중에 Config 파일이 있는데, ​ 이것이 바로 우리 프린터에 대한 모든 설정이 들어가 있는 파일이죠. 열어서 수정해봅니다. ​ ​ X축과 Y축의 스위치 방식과 위치를 설정해준것이고, 뒤에 xstop이라고 되잇는 것은 핀이름입니다. 보드에 Xstop이라는 포트에 연결해놧다는 뜻이죠. 만약 스위치를 눌럿을때 멈춰야 되는데, 반..

( duet2 wifi ) + sapphire pro project - 4 - 프린터설정 printer config 만들기

듀엣보드는 렙렙펌을 기반으로 하고, 듀엣 홈에서는 각자 자신이 쓰는 프린터의 상태에 맞는 configuration을 작성해주는 툴을 만들어 놨습니다. ​ https://configtool.reprapfirmware.org/Start RRF Config Tool configtool.reprapfirmware.org ​ 위페이지에 들어가셔서 본인이 쓰는 프린터에 대한 내용을 살살 넣어주시면 됩니다. 물론 엔더3같이 대중화된 모델들은 이미 작성이 되있습니다 .ㅎㅎㅎ ​ 여튼 제가 쓰는 사파이어 프로에 대해 작성해보겠습니다. ​ 1. 우선 첫페이지에서 커스텀을 선택 ​ ​ 2. 그 다음 정전시 자동 저장햇다가 전원 켜면 다시시작 하는 리커버리 기능 두개 체크 > 코어XY 이므로 선택 > 베드사이즈 조정 ​ ​ ..

듀엣 보드 ( duet2 wifi ) + sapphire pro project - 3- 배선 및 펌업

​ 보드에 배선을 했습니다 . 배선은 아마 어렵지 않으실거에요. 보드교체까지 염두에 두고 계시고, 굳이 듀엣보드 duet2 wifi 사시는 분이라면 아마 뭐가 무슨 선인지는 다 아실 겁니다 .ㅋㅋ 그리고 보드에 써있으니 그대로 꼽으셔도 되고, 아래 가이드에 보시면 또 듀엣에서 아주 친절하게 써놨습니다. https://duet3d.dozuki.com/Guide/2.)+Wiring+your+Duet+2+WiFi-Ethernet/9 2.) Wiring your Duet 2 WiFi/Ethernet duet3d.dozuki.com 여튼 장착을 해봤어요 뭔가 어지럽지만 또 보드가 큼직해서 여유가 있습니다 ㅎㅎㅎ ​ ​ 그다음 이제 USB말고 24볼트 보드 전원을 연결해서 프린터를 켜봅니다. ​ 이상 없이 켜지면 ..

듀엣 보드 ( duet2 wifi ) + sapphire pro project - 2-

듀엣 보드 ( duet2 wifi ) + sapphire pro 이 조합으로 한번 구성해보자 .. 라고 한건 좀오래 됫는데 ;; 이번에 기회가 되서 해보게 됫습니다 ㅎㅎ ​ 근데 어려웠던것이 국내에 듀엣 보드 ( duet2 wifi ) 유저가 별로 없는 것인것도 있는거 같고, 유저라고 쓰시는 분들은 이미 고인물 중에 고인물들이신지라,. ​ ​ 여튼 일반 설치 까지는 듀엣홈에 나온 내용들만 보고 충분히 가능합니다. 요기 스텝바이스텝 가이드 보면서 천천히 하시면 됩니다 . https://duet3d.dozuki.com/Guide/1.)+Getting+Connected+to+your+Duet/7 1.) Getting Connected to your Duet Unboxing and initial connecti..

듀엣보드 (duet 2 wifi ) project 시작 - 1일차 - 맛보기

​ 모스키토 끝나고 새로운 거 뭐해볼까 하다가.. 클리퍼랑 듀엣 보드 중에 듀엣으로 선택 .. 클리퍼는 이미 옥토를 쓰고 잇기도 해서.. ​ 원래 눈똑들이고 있던 듀엣보드를 시도해보기로 함 ㅋㅋ ​ 보드가 일단 듀엣3도 나왓다고는 하지만 듀엣2 (duet 2 wifi ) 임 보드자체가 상당히 고가라 그런가 간지는 나고 겁도 나고 ㅋ ​ 구성품은 우선 보드..좀 크다. 와이파이 모듈도 이미 박혀있고, 모터드라이버는 TMC2660 ㄷㄷㄷ256분주까지 컨트롤 된다는데 궁금,..ㄷㄷ ​ ​ 그래도 돈값한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이거 TMC2660ㅋㅋㅋ ​ 그리고 리뷰같은데 보면 하나같이 쓸모없다고 하는 LCD..ㅋㅋ 이것도 크고 간지난다. ​ 그리고 LCD연결 하는용도 같은 보드하나... 듀엣보드 특징이라고 하면 ..

모스키토 핫엔드 ( mosquito hotend ) 최종 - 장착 -

일단 완성을 해서 너무좋네요 ㅎㅎ ​ 일단 요래 모스키토 달고 ​ ​ 노즐부를 먼저 장착할수 있습니다. 따로 뺄수도 있고 ㅋ ㅋ 앞파츠는 팬 세개 조립해서 ㅋㅋ ​ ​파워파워 합체 ㅋ ​ 이쁘고 튼튼하네요 ㅋㅋ사진은없는데 앞뒤파츠는 나사로 조립 ㅋㅋ ​ 기존에 있던 오토닉스 마운트와도 잘맞습니다 ㅋ ​ 듀엣보드 세팅 완료후 첫출력 with 모스키토ㅋㅋ ​ 나름 잘나왓내욤 ㅋㅋ 듀엣보드 완료해서 넘나 좋은것

카테고리 없음 2021.01.13

오늘의 생활프린팅 - 다육이 자외선 조명

​ 다육이 들이 요새 해가 짧아서 그런지 힘이 없습니다 ㅠㅠ ​ 햇빛좀 더먹어 보겠다고 웃자라다가 꺽인녀석을 보니 가슴이 ㅠㅠ 좀더 해가 드는 쪽으로 선반을 만들어 볼까 찾다가.. UV접착제 붙일때 쓰던 UV LED가 보입니다 ㅋㅋ 그래서 조명을 만들어 보기로 ㅋ ​ 일단 모델링을 샥샥 ㅋㅋ ​ 이렇게 가로등 처럼 초단순하게 만들어봤습니다. ㅋㅋㅋ ​ 그다음 출력 ㅋ ​ 일 넘나 잘하는 우리 사프 ㅋㅋㅋ 모스키토도 이제야 성능발휘 ㅋㅋㅋ ​ 속빈 강정 완성 ㅋㅋㅋ ​ 이제 연결해봅니다 ㅋ 위에다 UV LED꼽고... ​ 밑에 기둥쪽에 구멍을 냈는데.. 전원케이블이 안들어가네요 ㅠㅠ 대충 때려맞춘 설계의 설계미스 ㅠ ​ 반대로 꼽아서 달아봤습니다. ​ ​ 영롱 하게 잘나오네요 ㅋㅋㅋ 나름 분위기도 있고, ..

모스키토 핫엔드 ver.7

​ 저번에 완결짓고 출력 테스트 하던 모스키토.. ​ 이제좀 적응도 됫고 잘나오는데 좀 불만인게 출력 하면서 앞뒤로 까딱까딱하네요 ;; ​ 앞뒤로 양쪽으로 잡아주는 방식으로 새로 만들어봄. 대략 이런방식 ㅋ 저 동그란 부분도 강도 보강해서 새로 그려줌... 약간 퍼즐처럼 딱 끼워져서 맞게끔 만들어봄...제대로 들어가려나 싶음. ​ 그리고 출력을 돌려봅니다. 이제 적응된 모스키토는 엄청난 퍼포먼스를 보여주고 잇음. ​ 출력 완료... ​ 잘나왓습니다 ...역시 상쾌한 모닝출력 ㅋㅋ 출력물은 아침에 확인해야 제맛... 멋지네요...이런 출력물 보면 기분이 좋아져요 ​ ​ 라프트 떼어낸부분도 적당히 잘나왓고 ​ ​ 서포트 뗀 부분도 이야...이정도면 깔끔 ㅋ ​ 가장 관심사는 ...결합부분 ㅋ 나사 박게끔 만..

모스키토 핫엔드 ( mosquito hotend install ) 적용기 - 8 - 완료

여러 시행 착오 끝에 다시 모델링 시작 ㅋ ​ 요약하면 ver.4 하고 ver.5를 섞어서 만들어보기로함. ​ ver.4의 문제는 상시팬 위치가 너무 낮고, 노즐입구 피팅부분이 필라가 걸릴 우려가 있는것. ​ ver.5의 문제는 노즐 입구 피팅을 사용하지 않아서 걸리지 않지만..3010상시팬이 약하고 구조상 노즐이 블로워팬보다 너무 낮아서 히팅블럭이 바람에 노출됨 ㅠ ​ 그래서 섞어봤슴돠 ㅋㅋㅋ ​ ​ 대략 이런 모델링 고정부분은 ver.5 나머지는 조립하지 않는 일체형으로 변경한 ver.4 사용팬은 상시: 4010 + 4020 블로워 x2 ​ ​ 출력이 뚝딱 나왓습니다. 서포트 없이 햇더니 브릿지 부분 정말 대충 출력된....ㅋㅋㅋㅋ ​ ​ 이제는 다 모듈화해놔서 뚝딱뚝딱 조립 금방합니다ㅋㅋ ​ ​ ​..

모스키토 핫엔드 ( mosquito hotend ) 적용기 - 6 -

모스키토 핫엔드 ( mosquito hotend ) ver.5 도전 ㅋㅋ ​ 일단 이런 순정타입 3010팬이 좀 풍압도 약하고 풍량이 적어서 걱정되지만 달아봄 ​ ​ 뛰어가서 집근처에서 사온 4010 블로워팬 ㅋㅋㅋ 그리하야 장착하면 대략 이런 모양새ㅋㅋㅋ ​ 간지넘치던 모습은 사라지고 순정과 똑같아졋습니다 ㅋㅋㅋㅋ ​ ​ 출력만 잘되면 된다고 위안을 삼고... ​ 출력울 걸어봅니다. 다행히 필라는 잘나오고 잇으니... ​ 라프트 테스트는 통과....잘나오네염 ㅋㅋㅋ ​ 다음은 벤치 보트 ㄱㄱ ​ ​ ㅋㅋㅋㅋㅋ 여기까지 나오고 노즐 막혓습니다 ㅋㅋㅋ ​ 여기까지만해도 퀄리티에 감탄중이엇는데 ㅠㅋㅋㅋ 아무래도 싱기버스 모델러 권장 사양대로 음....앞에 순정 덕트 부분에 동그라미 부분을 날려주던가 301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