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세히보기

큐라읽기

초보자를 위한 Ultimaker Cura 큐라 읽어보기 (4) - 프린팅 속도 가속도 저크

ROCOCO 2020. 11. 25. 09:37
728x90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올리게 됬습니다. 개인적으로 뭔가 연말이 되니 일이 많아 바빠졌네요;

여튼 앞선 글을 보시고 온도 타워를 통해 적정온도를 찾았다고 하시면 아마 무리 없이 출력이 되실 겁니다;;

사실 온도맞고, 레벨링 잘되면 프린팅이 안나오는게 더 어렵거든요.

그다음은 속도와 가속도 그리고 저크 입니다.

속도는 일반적으로 생각하시는 프린팅 속도, 그러니까 헤드가 움직이는 속도라고 보시면 되고,

가속도는 속도가 변하는 시점. 예를들어, 품질을 좋게 하기위해 외곽을 천천히 돌리다가 내부채움을 빠르게 할경우 갑자기 빨라지는 시점. 이때 속도가 붙는 지점에서 많이 영향을 줍니다.

저크는 우리말로 하면 가가속도 쯤 될텐데, 흔히 모서리에서 프린터 헤드가 무겁거나 하면, 특히 직결식 개조를 햇을 경우 프레임이 LM가이드나, 연마봉같이 견고하지 않은 경우 관성에 의해 튕겨나가는데, 이때 모서리가 뭉툭해지는 현상이 생기죠;

이럴 때는 저크 값을 낮춰주시면 됩니다 .

가장 큰 원칙은

'프린팅은 쿨링 많이주고 천천히 뽑으면 품질은 그만큼 잘나온다'

입니다.

다만 우리는 바쁜 현대인이기에 빨리 뽑는 것도 중요해서 ㅎㅎㅎ

품질에 얼만큼 손해보지 않고 속도를 올리냐를 연구해야겟죠 ㅋ

결론 부터 이야기 하면, 제가 보기에 품질에 손해보지 않는 선에서 우리가 속도를 올릴 수 있는 부분은 정해져있습니다.

내부채움 속도, 이동속도, 초기레이어 이동속도, 가속도, 저크

이 네개 인데요,

프린팅 기본 속도를 뺀 이유는 이것은 프린터 구조나 종류에 따라 좀 차이가 크기 때문입니다.

프레임이 짱짱한 사파이어의 경우, 제가보는 적정 속도는 70~80 입니다.

물론 그이상도 쓰시는 분들도 있겟지만,.. 저만해도 100놓고 쓰는 경우도 있는데, 그래도 나름 잘나오더라고요..

그래서 평소에는

속도 70

내부채움 70

이동속도 150

가속 500 (기본)

저크 8 (기본)

그외에 속도를 낼때는

내부 채움 100

이동속도 150

가속도 800

저크 20

정도를 주고요, 이정도 했을때 퀄리티에 저하가 적게 다소 빠르게 출력이 가능했습니다.

물론 앞서 말씀드린거처럼 모서리나 엣지 부분은 저크나 가속도가 관여 하기 때문에, 벨트 텐션이나 조립정도에 따라 저크나 가속도를 저렇게 주엇더니 뭉툭해진다... 하시면 좀 낮추시는걸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초기 레이어 속도는 안착에 영향을 주므로 천천히 돌리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이동속도는 필라가 나오지 않는 구간이니 빨리돌리셔도 됩니다.

번외로 .. 출력중에 속도때문에 발생하는 몇가지 문제들이 있는데.

1) 약한 채움

이런식으로 외벽은 잘나오는데, 채움이 약하게 되는 경우는 내부 채움 속도의 문제입니다. 낮춰주세요.

2) 안착불량

이것도 초기 레이어 출력 속도 빠를경우 생기는 문제 입니다, 물론 레벨링이 잘됫다는 전제하에 ㅎㅎ

이런 문제들은 '문제해결가이드'에도 적어놧습니다 참고하세요 ㅎㅎ

 

https://blog.naver.com/artom212/222090808993

 

여튼 다들 복합적인 문제입니다만, 요래 조래 하나씩 다 체크 해봐야 겟죠?ㅎㅎㅎ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