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세히보기

큐라읽기

초보자를 위한 Ultimaker Cura 큐라 읽어보기 (2)

ROCOCO 2020. 11. 17. 11:34
728x90

우선 큐라를 설치 하시면 자신의 프린터가 어떤것인지에 대해 정하는 부분이 나오는데..

투트리 사에 사파이어는 큐라에 들어가있지 않아서 따로 프로파일을 추가해주셔야합니다.

이부분은 프린터 메뉴얼에 나와있으실 겁니다.

하지만 저는 기본적으로 엔더3의 프로파일을 기준으로 항목들을 수정하여 진행합니다. 순전히 제 생각이지만 아무래도 유저층이 많다보니 출력 설정이 잘 되잇는 점도 있고, 노즐 변경에 따른 설정값도 이미 입력되 있습니다.;; 이상하게 다른 프린터 프로파일은 이게 없더군요;;

사파이어프로 = 엔더3과 베드사이즈가 같고,

사파이어플러스 = 엔더5 플러스로 놓고 베드사이즈만 좀 수정하시면 됩니다.

그런 다음 아래 보시면 시작코드와 엔드코드가 있습니다 .

3D프린터는 G코드라고 하는 명령어를 기반으로 움직이게 됩니다 . 이런 명령을 순서대로 쭉 메모장에 적어놓은것이 우리가 슬라이싱 하는 지코드 파일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G1

G2

M3

이렇게 순서대로 코드가 들어가 있으면 순서를 건너뛰지 않고 그 코드 순서대로 명령을 진행하는 것이죠;;

그래서 이 순서와 코드가 상당히 중요합니다.

G코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 랩랩에 가시면 보실수 있습니다.

https://www.reprap.org/wiki/G-code

다 보는 것은 천천히 하고, 우선 우리가 필요한 필수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

베드온도와 노즐온도를 올리는 코드

M104 S{material_print_temperature}

M140 S{material_bed_temperature}

M109 S{material_print_temperature}

M190 S{material_bed_temperature}

G28 ;Home 원점을 찍는 homing 코드

G92 E0 ;Reset Extruder 익스트루더 리셋 코드

넵 대충 엔더3 기본 스타트 코드에 다들어가 있을테니 확인해보시고 넘어가시면 됩니다.

간혹 스타트 코드 왠지는 모르겟지만 건드리시다가 한두개 빼먹으셔서 출력 안된다는 분들도 있으니 ㅎㅎ

이제 큐라로 본격적으로 들어와서 오른쪽 상단에 줄 세개를 누르시면

이렇게 고르라고 나오는데 일단 ALL로 하셔서 전체 항목들을 보며 합니다. 0.4노즐 기준입니다.

1) 품질

품질에서는 딱히 건드실 것이 없습니다.

가장 중요한것은 적층 높이 입니다. 아시겠지만, 당연히 조금 씩 얇게 쌓아 올릴 수록 품질이 좋아 지고 시간은 오래 걸립니다 .ㅎㅎ

출력 시간을 줄이기 위해선 반대로 적층을 높이시는데, 보통 노즐구경에 절반정도 높이로 적층하는게 적정이고 그이상으로 가면 적층 사이에 틈이 생긴다던가 하니... 0.4노즐을 쓰시면 왠만하면 0.2까지 쓰시는게 좋습니다.

적층 높이 와는 다르게 선폭의 경우 노즐에서 나오는 폭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일정부분 조절이 가능하긴 하지만 크게 눈에 띄는 효과를 보기는 어렵고 조절할경우 오히려 일정한 압출이 어려워지고 품질 저하로 이어집니다. 선폭을 줄이시려면 노즐 구경을 바꾸시는걸 추천...

그래서 선폭은 0.4로 하셔도 무방합니다. 아래사진은 선폭0.4 적층 0.05로 출력해본 샘플입니다.

2. 외곽

외곽탭에서 중점적으로 보실것은 상단, 하단, 외벽 '라인수' 입니다. 즉 위아래 옆 벽을 몇겹으로 출력할지 결정하는것입니다.

저는 기본적으로 4겹을 주고 4로 지정해놓으면 곱하기 선두께로 해서 자동으로 두께가 결정됩니다.

단단한 출력 물이 필요할 때 내부 채움을 100%주시는 분들이 있는데 그게 튼튼하긴 하지만, 사실상 내부 채움은 50%이상으로 가면 내구성이 대동소이 하다고 봅니다.

그래서 내부 채움을 그이상 주시는 거 보단 외벽의 갯수를 늘려주시는게 더 빠르게 단단한 출력물을 얻으실수 있습니다.

그다음은 '내벽 앞부분 바깥쪽' 옵션 입니다. 이 옵션은 내벽보다 바깥쪽을 먼저 프린팅하게 합니다.

그래서 내벽, 그러니까 인필 부분이 외벽이 비치는 고스팅 현상을 줄여 줍니다. 깔끔한 외관을 얻을수 있지여 ㅋ

'수평 확장'

이건 쉽게말해 '공차'를 주는 기능입니다. 사진과 같이 두개의 부품을 출력해서 조립한다고 할때 양쪽 치수가 정확히 일치하면 틈이 없기에 조립이 잘 안되겠죠;;

그래서 수평으로 확장시킴으로써 공차를 주는것입니다. 보통 마이너스 값으로 넣으며, 저는 마이너스 0.1~0.2정도 줍니다.

나머지 Z seam 솔기 옵션들은 관련 옵션이 몇가지 더 있으니 한번에 묶어서 하겠습니다.

일단 외곽에서는 요정도만 건드리며, 출력 합니다.

3. 내부채움

내부 채움에서는 밀도와 패턴만 건드립니다.

밀도는 아실거고... 저같은 경우 최대 60%정도만 줍니다.

패턴은 그리드와 입방체가 속도면에서는 좋고,

튼튼하고 이쁜건 자이로이드 채움인데, 이게 특성상 전후좌우위아래 에서 받는 압력이 동일하게 적용되는 채움이라 상당히 튼튼합니다.

대신 라면 사리 같은 모양이라...XY축 움직임이 상당하기 때문에 엔더3같은 멘델타입은 프린터가 부서질거같은 움직임을 보여주죠;;ㅎㅎㅎ 코어 XY는 더 안정적으로 가능하지만, 외국 깃헙같은데 보면 진동에 의해서 나사 풀릴수 있으니 조심하라고 나오더라는;;;

여튼 자이로이드 채움 40%에 벽갯수 5개는 무적입니다 ㅋㅋ

이제 내부와 외벽 관련은 끝났고, 다음은 온도와 속도 관련으로 또 써보겟습니다.

제가 옵션 쓰는 방법 알려달라하셔서 쓰고는 있는데 써놓고 나니 생각보다 별개 없어서 좀 죄송하네요 ㅋㅋ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