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파이어 플러스 넘나좋다.

알루미늄 5t판 일명 고베판 너무 좋다..ㅋㅋ

하지만..단점은
평탄도를 얻은 대신에...히팅이 너무 느리다..ABS를 뽑기위한 100도 까지 17분 정도...ㅠㅠ
이를 극복하기위한 방법으로 보론제로 만들때 썻던 실리콘 러버 히팅 베드를 쓰기로 한다.
실리콘 러버 히터는 220v짜리 히터. 일명 전기장판소재다. 이걸 이용해서 급속으로 온도를 올리는건데.. 출력이 좋은대신 그만큼 뭔가위함해보이죠?ㅋㅋㅋ
준비물
1) 실리콘 러버 히터.
안전을 위해 평이 좋은 keenovo 220v 500w 제품을 구매함...가격은 다른거에 비해 두배정도 ㅠㅠ

출력이 좋아서 굳이 300베드 사이즈에 맞게 안사도 될듯
2) SSR
일종에 전기 신호 스위치..
이또한 작은거나 ..싼 제품들도 있지만.. 제로크로싱에 안전한 한영넉스 제품을 사기로 한다.

8800원에서 몇천원 아끼자고 안전을 버리지 말자 ㅋㅋ
3) 온도스위치..온도퓨즈
이건 선택인데..
혹시나 ssr이 터져서 제기능을 못할때를 대비해서 과열이 될경우 전원을 끊어주는 퓨즈를 달아놓는것이다.
사실 잇으면 좋겟지만 ssr믿고 안 설치하시는분들도 많은듯..
130도 이상은 쓸일이 없기때문에 만약 130도면 과열이라고 판단하고 전기를 끊어주는 130도짜리를 사기로한다.

이렇게 생겻다. 배선한 후에 실리콘 러버 히터에 서멀본드로 붙인다.
4) ntc 100k 서미스터. 온도 센서.
보통 히팅베드에 붙은 그거 맞다. 위에 키노보꺼를 사면 이거까지 포함되잇으나..없으면 사다가 달면된다.
그럼 배선을 해본다.

대략 구조개념은 이런식...
1) 보드에서 히팅베드가 연결되잇던 곳에 SSR의 24V쪽 플러스.마이너스를 연결해주고.
2) SSR의 반대쪽 220v 교류쪽에는 한쪽단자에는 히팅베드. 다른쪽 단자에는 220v전원을 연결한다.
여기서 220v전원은
smps에 입력단자에 연결해도 되고.

인렛쪽에 연결해도 된다.
거기에 안전을 위해 온도스위치를 넣는다면 대략 이런 배선....

온도스위치는 이렇게 연결한뒤 히터에 서멀본드로 붙인다.
그리고 베드에 같이 달려잇는 서미스터는 원래히팅베드처럼 보드에 연결해주면 된다.
대략 사파이어에는 이렇게 설치해놈.





SSR은 실리콘 양면 테이프로 붙임.
일단 이렇게 연결후 테스트.
히팅을 지시하면
SSR에 빨간불이.들어오며 히팅이 시작된다. ㅎㅎ
반대로 지정온도에 도달하면 불이 꺼지며 히팅 종료.
@ 소감
장점
1. 일단 히팅이 겁나빠르다. 100도 도달까지 1분 30초 정도. 넉넉잡아 2분정도.
2. 온도컨트롤이 잘된다. SSR이 온도를 칼같이 컨트롤한다. 느낌적인 느낌으로..원래 히팅베드보다 컨트롤이 잘됨.
3. PID튜닝이 잘된다. 이거는 제로크로싱의 효과라는데 전기적인거라 잘모름 ㅋㅋ근데 정말 튜닝해보니 잘되긴 잘된다..순정히터로는 실패 뜰때도 잇는데 ㅋㅋ
4. 베드를 220v전원을 바로 끌어와 쓰기 때문에 smps출력이 클 필요가 없다. 조만간 팬없는 팬리스 100w짜리 smps로 바꿀예정. 그러면 전기도 적게먹고 팬소음도 없는 환경이 될것으로 예상 ㅎ
단점.
죽을수도 있다. 배선 제대로 하고 안전장치 해놓지않으면 위험하다. 220V는 사람이 감전되 죽을수잇는 전압이다.
혹시나 이 글보고 시도하려고 한다면 그건 온전히 자기 책임이기때문에 안전에 유의 또 유의 하기바람. 배선하는 과정에서도 감전 가능성도 잇음.
불날수도 잇음.
이상끝
'사파이어플러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피드랙 챔버 안 LED등 설치 (0) | 2020.11.25 |
---|---|
사파이어 플러스 v3 오버행 테스트 (0) | 2020.11.23 |
사파이어 플러스 V3 - 조립 (sapphire plus V3 install) by ROCOCO (2) | 2020.11.17 |
사파이어 플러스 V3 언박싱 (sapphire plus V3 unboxing) by ROCOCO (1) | 2020.11.17 |
알루미늄 5T베드 ( 고베판 ) 영접 ㅎㅎ (0) | 2020.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