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자를 위한 Ultimaker Cura 큐라 읽어보기 (3) - 온도타워
프린팅 온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실 이부분 같은 경우 워낙많은 변수와 조건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절대적으로 맞는다던가 하는것은 없으니 좀 러프하게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온도는 노즐온도와 베드온도 두가지가 있습니다 .
보통 노즐온도는
PLA의 경우 180~210도 (보통은 190~200)
ABS의 경우 230~250도 사이를 씁니다만,
사실 필라멘트 제조사 별로 섞는 원료의 양도 다르고, 또 같은 필라멘트 브랜드라고해도, 'master batch' 라고 해서 필라멘트에 색상을 내는 원료 자체도 다르기 때문에 색상별로도 적정 프린팅 온도에 차이가 있습니다.
그래서 가장 정확한 방법은 뽑아보는 것인데요. 새 필라멘트를 시험 할 때는 온도 타워를 인쇄하는 것이 좋습니다.
https://www.thingiverse.com/thing:2625999
Better temperature tower 240-180 by steinhausler
GCODE file for printing the "Better temperature tower" from Thump2010 for temperatures from 240 - 180 C on a Prusa i3 MK2 Multimaterial printer (using PLA in the first extruder). Sliced in Slic3r Prusa Edition (1.37.1). Manually modified temperature settings for each of the segments in the tower as ...
www.thingiverse.com
이런 모델링이 싱기버스에 보시면 여러개 있습니다. 간단한것 부터 복잡한것까지 해서 여러가지인데요.
적당한걸 다운 받으신 다음에, 압축 풀어보시면
이렇게 미리 작성자가 슬라이싱 해논 파일도 있습니다. 그대로 사용하셔도 되고 , 슬라이싱하는것 부터 알려드리면,
우선 모델링을 불러와서 240도 부터 시작하니 온도를 240으로 맞춰 줍니다.
그리고 슬라이싱을 눌러 봅니다.
그리고 나서 미리보기를 눌러서 우측에 화살표를 움직이며 확인해보면 대략 한칸에 40레이어 인것을 알수 있습니다 .
그리고 '확장프로그램 > 후처리 > g코드 수정' 를 들어가보면
이런 플러그인이 있습니다 . heigt 부분을 눌러 Layer no. 로하시고 밑에는 40레이어로 바꾸시면 됩니다. 40레이어 마다 변경한다는 이야기 입니다.
그다음 밑에 change extruder 1temp 에서 다음온도인 235도로 설정하시면 됩니다.
보통 4~5층정도만 하시면 되기 때문에 전체 다 하실 필요는 없지만, ㅎㅎ 반복작업 하시면 됩니다.
이런 노가다 작업을 작성자가 미리 해서 지코드로 넣어 놓으신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ㅎㅎㅎ 그래서 출력을 해보면
이런 타워를 만나실수 있습니다 .
딱보면 이필라멘트는 몇 도로 출력을 해야하는 구나.. 알수 있죠 ㅎㅎ
물론 저도 항상 필라멘트를 쓸때마다 이런 타워를 뽑아보진 않지만 나름 제일 정확한 방법입니다 .
저 같은 경우는 그냥 ABS는 240도, PLA는 200도에 출력 걸어보고 나오는거 보면서 +-5도 사이에서 조절해가며 때려 맞추는 경우가 많긴 합니다;;ㅎㅎ
오늘은 이정도로 마치고 내일 또 이어서 올려보겠습니다.
온도설정은 경우에 수가 많아서 .. 출력 상황에 따라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올려보겠습니다 .